- 공유 링크 만들기
- X
- 이메일
- 기타 앱
혼자 살기 시작했다면, 상비약은 이렇게 준비해보세요.
자취를 시작하면 가장 당황스러운 순간 중 하나가, 갑자기 몸이 아플 때예요.
근처 병원을 찾는 것도, 약국 운영 시간을 맞추는 것도 생각보다 쉽지 않죠.
그래서 저는 꼭 상비약을 준비해두는 편이에요.
그런데 여기서 많은 분들이 모르시는 사실이 하나 있어요. 내과, 이비인후과, 피부과 같은 병의원에서 증상이 반복되는 약은 ‘한 달 치’로 처방받을 수 있다는 점이에요.
물론 병원에 따라 다를 수는 있지만,
필요한 약을 미리 챙겨둘 수 있다는 점은 혼삶러에게 꽤 실용적인 팁이에요.
갑자기 아플 때 훨씬 덜 불안하고요.
약국에서 파는 일반약보다 내 몸에 맞는 약을 갖고 있다는 것,
작지만 중요한 차이예요.
제가 얼마전에 당근에서 이제 갓 자취를 시작한 분에게 이런 댓글을 달아 정보를 알려줬더니 꿀팁이라고 너무 좋아하길래, 블로그 포스팅으로 따로 해봅니다.
상비약은 이렇게 준비해보세요
저는 비염이 있어서 가까운 이비인후과에 가서 “상비약으로 갖고 있으려 한다”고 말씀드렸고, 한 달 치 비염약을 처방받았어요. 감기약, 연고, 알러지약 등도 마찬가지예요.
🩺 내과
- 해열진통제 (타이레놀, 이부프로펜 등)
- 소화제, 위산억제제 (가스활명수, 판토프라졸 등)
- 지사제 (로페라마이드, 정로환)
- 감기약 (콧물, 기침, 몸살 등 복합제)
👃 이비인후과
- 비염약 (항히스타민제: 세티리진, 로라타딘 등)
- 코 분무제 (스테로이드 비강 스프레이)
- 목감기·편도염 항생제 (아목사실린, 세팔렉신 등)
🧴 피부과
- 항생제 연고 (후시딘, 바세트 등)
- 피부염 치료제 (스테로이드 외용제)
- 여드름 약 (벤조일퍼옥사이드 성분 등)
👁 안과
- 인공눈물
- 결막염 점안액 (항생제 안약)
- 안연고 (감염 예방용)
🦴 정형외과
- 근육통·관절통 진통제 (디클로페낙, 멜록시캄 등)
- 파스, 근육이완제
- 허리·무릎 통증용 약물
※ 병원에 따라 처방 범위나 약의 종류는 달라질 수 있으며, 항상 의사와 상담 후 준비하세요.
상비약은 사용 시기와 용량을 정확히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.
혼자살기팁 by 엘리오
#상비약준비 #자취꿀팁 #한달치약 #비염약처방 #피부과연고 #이비인후과상비약 #병원팁 #자취생건강 #혼삶정보
이전 글 읽기
댓글
댓글 쓰기